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달력
- Google Calendar
- 구글캘린더
- 여름
- 번역툴
- Firefox
- * 암호
- 아이콘크기
- Asterisk password reveal
- web scrapping
- 댓글스팸
- 구글웹화면
- 단축키
- 패스워드
- 공유기 패스워드
- 일정관리
- 통합도서회원증
- Windows
- 파워셸
- Shortcut Key
- Edge E125
- rainlendar
- outwit hub
- 2013사진공모전
- 가을
- 윈도우 탐색기
- 레노버
- 가로화면
- 스케쥴
- 구글메인화면
- Today
- Total
목록유용한정보 (33)
Black&White
How to Download from Torrents, File Hosters and Usenet or other Newsgroups. Step 1. Login In case you have not yet a Putdrive Account, push Register and create an account fast and simple. Once registered at Putdrive.com, an account at OziBox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synched with Putdrive for you. Step 2. Now you can see your Dashboard. Your options: Push this button, enter the link of the fi..
PC 에서 작업하다 보면, 텍스트나,이미지, 링크 주소를 간단하고 빨리 스마트폰으로 보내야 할 때가 있다. 나의 경우, 이럴때 마이피플을 이용하곤 했었다. 마이피플의 메모군을 이용하면 정말 쉽게 할 수 있었는데.... 요즘 직장내 보안강화로 외부 메신져들이 차단된 관계로... 어쩔 수 없이 조금은 불편하지만, firefox 의 부가기능으로 evernote 를 활용하여 이를 해소하긴 해왔으나... 마이피플에 비하면 불편할 수 밖에 없었다. 사설이 길었다... 네이버를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네이버 메모 서비스라는 것이 생겼다.(언제 생겼는진 모르겠지만) 웹브라우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PC에 네이버 메모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어플(이이폰)도 있다. 당연 동기화가 이뤄진다. 한가지 아..
제목이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듯도 싶다. 보통 토렌트를 통해 파일을 다운받기 위해서는 PC에 토렌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토렌트씨드 파일(또는 마그넷 링크)이 있으면 된다. 하지만 웹을 통해 토렌트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Torrent-to-Http)은 웹브라우저와 토렌트씨드 파일(또는 마그넷 링크)이 필요하다. 즉 간단히 말해서, PC 에서 직접 토렌트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에서 토렌트파일을 다운로드하고(서버가 PC에 설치된 토렌트 클라이언트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됨) 서버에 다운로드된 파일을 다시 PC에서 다운로드하는 방식이다. 그냥 PC에 토렌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해서, 직접 다운로드하면 되는데 뭣하러 이렇게 복잡하게 하는가?? 라고 되물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장단점..
전자책(eBook)을 PDA 시절에 가끔 이용했었는데, 그당시엔 대부분이 텍스트(txt) 파일 형태였다. 물론 pdf 도 있긴 했지만.... 요즘 아이폰을 사용하면서, PDA 시절 다운받아 놓았던 eBook 을 Google Doc 에 업로드 해놓고, 아이폰 앱 Stanza 를 이용해 eBook 을 가끔 보려고 하기는 하지만, 사실 예전 책들이고, 또 텍스트 형식이다 보니 뭔가 아쉬움이 컸었다. 그러다, 최근 도서들을 eBook 으로 아이폰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찾아 보게 되었다. 먼저 eBook 을 무료로 다운을 받거나 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았다. 물론, 어둠의 경로를 통해 힘들게 어찌어찌해서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내가 보고싶어하는 eBook 을 구하는 것은 사실 쉬운일..
언제부터인가 내 블로그 댓글에 영문으로 된 스팸성 댓글이 무수히 달리기 시작했다. 스팸성 댓글을 일일히 삭제하는 것도 정말 끔찍한데, 그렇다고 그냥 놔두자니 관리가 안되는 블로그처럼 보이는 것도 그렇고 보기에도 너무 좋지 않았다.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서 보니, 글관리에 스팸필터가 있었다. 하지만, 스팸 댓글은 이 설정으로 차단을 할 수가 없었다. 플러그인 설정에 보니, 다행이도 스팸 댓글을 차단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었다. 영어환자(댓글스팸방지) 라는 플러그인인데, 몇일 지켜본 결과 영문으로 된 스팸댓글은 더이상 쌓이지 않았다.
아이폰에서 사파리로 외국 사이트를 볼 때 웹페이지 자동 번역해서 보는 방법이다. 스마트폰의 웹브라우저(사파리, 크롬 등)에서 외국사이트를 볼 때 웹페이지 자동 번역해서 보는 방법이다. 이전 포스팅글에서 언급했던, 방법을 응용해 보았다. ^^부가기능 설치 없이 웹페이지 번역 하기 아이폰에서 사파리로 테스트 해 본 결과 잘된다. 방법은 무지무지 간단하다.순서대로 따라 해보자 1) 사파리를 실행한다.2) 아무사이트나 들어가서 책갈피에 추가한다.3) 책갈피에서 편집을 누르고, 방금 추가한 책갈피를 선택한다.4) 윗줄이 제목인데, '웹번역하기' 라고 입력한다. 5) 아랫줄에 아래 내용(한줄이다)을 복사해서 붙여 넣는다.(MS 번역엔진을 사용하는 방법과, 구글 번역엔진, 야후 번역 엔진인 바벨피쉬를 사용하는 방법이..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원본 크기의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몇차례의 클릭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검색된 이미지 모두를 그렇게 다운로드 한다는 것은 여간 불편하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윈도우 배경화면(wallpaper)으로 쓸 고양이 이미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할려고 할 경우, 구글 이미지의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는 썸네일이라 바로 다운로드하면 작은 크기의 이미지만 저장이 되고, 원본 크기의 이미지는 몇번의 클릭을 해야지 저장을 할 수 있다. 이제, 구글 이미지에서 검색된 이미지의 원본 이미지를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구글 이미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검색결과를 원본 이미지를 바로 제공하는 리퍼 사이트가 있다. Google Image R..
대표적인 검색엔진 Google, Bing, Daum, Naver 에서 이미지 검색툴에 대한 비교를 해보았다. (네이트의 경우, 이미지 검색이 제공되기는 하나 상세한 이미지 검색기능이 따로 없어서 비교대상에서 제외시켰다) 각 검색엔진마다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틀린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장,단점이 각각 있어 보였다. 비교항목을 크게, 검색조건과 검색결과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해 보았다. 검색조건부분 Google 과 Bing 이 다음, 네이버에 비해 좀 더 편리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구글의 경우는 이미지 크기를 가로, 세로 Pixel 단위로 입력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으며, Bing 의 경우 이미지 레이아웃을 정사각형, Wide, Tall 로 조건 검색이 가능했다. 다음의 경우는 다른 검색엔진과 다..
레노버 Thinkpad Edge E125 3035-RZ4 가 30만원 후반대(현재 실거래 39만원)중에 가장 가성비가 좋은 제품으로 보여서 구매를 했다. 얼마전에 아버지가 쓰실 30만원 초반대 제품으로 MSI U270 을 구매했었는데, 성능상으로는 레노버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다만, 외형적인 요소와 씽크패드의 마우스 트랙볼, 키감등과 해상도에 있어서 레노버가 조금더 좋아 보인다. 겉으로 드러난 레노버의 문제점(?)이라면, 키배열 문제가 커 보인다. 보통 펑션키(F1,F2....)가 기본이고 특수키를 누르기 위해 Fn 키를 조합하게 되는데, 레노버는 반대다...즉 기본이 특수키고, 펑션키는 Fn키와 조합해서 눌러야 한다. 또한, Pause 키가 없다 ㅡㅡ' 시스템 등록정보 단축키로 윈도우키+Pause..
Multi-Tabbed 터미널 콘솔 프로그램으로 소개한적이 있는 mRemoteNG 에 대해 항상 아쉽게 여기던 것이 바로 Login Script 사용이 안된다는 것이다. 즉, 일반사용자 계정에서 관리자 계정으로 자동 접속되게 하기 위한 기능이 없다는 것이다. Putty Connection Manager(PCM) 과 SecureCRT 라는 터미널 콘솔 프로그램에서는 지원이 되기는 하지만, SSH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지원이 되는 한계가 있고, SecureCRT 는 유료프로그램이라는 제한이 있다. 나의 경우, 윈도우 서버도 관리해야되고, 여러 유닉스 계열의 서버도 운영해야되기에 mRemoteNG 를 불편을 감수하면서 사용해왔는데,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게 되어 이렇게 정리하게 되었다. mRemoteNG 는 ..